코딩테스트/백준

[백준 10845, 10828, 10866] 큐, 스택, 덱

starcat37 2023. 4. 24. 20:27

거의 같은 문제이기 때문에 같은 글에 한 번에 작성한다.

1. 링크

1) 큐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45

2) 스택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28

3) 덱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66

2. 문제 설명

1) 큐

(1) 문제

정수를 저장하는 큐를 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.

  • push X: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.
  • pop: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size: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  • empty: 큐가 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  • front: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back: 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
(2) 입력
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
 

(3) 출력
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
 

2) 스택

(1) 문제

정수를 저장하는 스택을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.

  • push X: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.
  • pop: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 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size: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  • empty: 스택이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  • top: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 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
(2) 입력
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 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
 

(3) 출력
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
 

3) 덱

(1) 문제

정수를 저장하는 덱(Deque)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.

  • push_front X: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.
  • push_back X: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.
  • pop_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pop_back: 덱의 가장 뒤에 있는 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,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size: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  • empty: 덱이 비어있으면 1을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  • front: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  • back: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 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
 

(2) 입력
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
 

(3) 출력
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
 

3. 코드

1) 큐

#10845

import sys

#기본 큐 정의
queue = []

#입력 받고 경우에 맞게 출력하기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N):
    inst = sys.stdin.readline().strip()
    
    if inst.startswith('push'):
        queue.append(int(inst[5:]))

    elif inst == 'pop':
       if len(queue): 
          print(queue[0])
          del queue[0]
       else:
          print(-1)
        
    elif inst == 'size': print(len(queue))
    
    elif inst == 'empty':
        if len(queue): print(0)
        else: print(1)
    
    elif inst == 'front':
        if len(queue): print(queue[0])
        else: print(-1)
    
    elif inst == 'back':
        if len(queue): print(queue[-1])
        else: print(-1)

 

2) 스택

#10828

import sys

#기본 스택 정의
stack = []

#입력 받고 경우에 맞게 출력하기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N):
    inst = sys.stdin.readline().strip()
    
    if inst.startswith('push'):
        stack.append(int(inst[5:]))

    elif inst == 'pop':
       if len(stack): 
          print(stack[-1])
          del stack[-1]
       else:
          print(-1)
        
    elif inst == 'size': print(len(stack))
    
    elif inst == 'empty':
        if len(stack): print(0)
        else: print(1)
    
    elif inst == 'top':
        if len(stack): print(stack[-1])
        else: print(-1)

 

3) 덱

#10866

import sys

#기본 덱 정의
deque = []

#입력 받고 경우에 맞게 출력하기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N):
    inst = sys.stdin.readline().strip()
    
    if inst.startswith('push_front'):
        deque.insert(0, int(inst[11:]))

    elif inst.startswith('push_back'):
        deque.append(int(inst[10:]))

    elif inst == 'pop_front':
       if len(deque): 
            print(deque[0])
            del deque[0]
       else: print(-1)

    elif inst == 'pop_back':
        if len(deque):
            print(deque[-1])
            del deque[-1]
        else: print(-1)
        
    elif inst == 'size': print(len(deque))
    
    elif inst == 'empty':
        if len(deque): print(0)
        else: print(1)
    
    elif inst == 'front':
        if len(deque): print(deque[0])
        else: print(-1)
    
    elif inst == 'back':
        if len(deque): print(deque[-1])
        else: print(-1)

 

4. 설명

경우에 따라 적합한 코드를 짜면 되는 구현 문제이다. 기본적인 큐/스택/덱을 위한 자료형으로 파이썬의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고, 해당 자료구조에서 필요한 명령을 구현하면 된다.

push, push_front 등 정수 값을 함께 받아야 하는 명령의 경우 startswith() 메서드를 사용해 구분하였고, 명령 다음에 오는 값을 입력받기 위해 명령어 이후의 인덱스부터 값을 읽어들였다. 이 부분에서 처음에는 맨 뒤의 정수를 읽으면 된다고 생각해 인덱스를 [-1]로 설정했으나, 이 경우 두 자리 수부터의 정수는 일의 자리만 읽어들이므로 오류가 생긴다.

다른 명령의 경우 문제에서 요구한대로 기본 함수나 메서드를 활용해 구현하였다.

5. 배운 점

한 문제를 풀면 다른 문제도 자연스럽게 풀렸다. 예전부터 풀어봐야지 하면서 계속 미뤘던 문제들인데, 밀린 숙제를 끝낸 것 같아서 마음이 놓인다. 또 예전에는 지레 겁을 먹고 클래스로 구현해야 하나 고민했는데, 생각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.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는 습관을 버려야겠다고 느꼈다.

'코딩테스트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 10773] 제로  (0) 2023.05.02
[백준 9012] 괄호  (0) 2023.04.30
[백준 1929] 소수 구하기  (0) 2023.04.09
[백준 1436] 영화감독 숌  (0) 2023.04.08
[백준 11650] 좌표 정렬하기  (0) 2023.04.02